본문 바로가기
소소사사/[방송 및 인물 정보]

[방송 정보] OTT 요금제 비교(feat 통신사별 혜택)

by 망고랑키위랑 2023. 10. 1.
반응형

 
안녕하세요, 요즘은 OTT 한, 두 개쯤 안보는 분들이 없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저희 집도 티빙, 넷플릭스, 디즈니+ 구독 중...) 그래서 오늘은 OTT별 간단히 특징 및 요금제 그리고 통신사에 따른 혜택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넷플릭스(NETFLIX)

 
미국의 글로벌 1위 OTT 기업으로 인터넷(net)+영화(flicks)를 합친 말입니다. OTT의 대표적인 선두주자로 콘텐츠양도 가장 많고, 오리지널 콘텐츠 역시 많이 존재합니다. 요즘 영상 콘텐츠에서는 빨리 보기 기능이 대세이며 0.5 / 0.75 / 1.25 /1.5 배속을 지원합니다. 
대표적인 콘텐츠로는 오징어게임, 마스크걸, 사냥개들 등이 있습니다.

넷플릭스 사이트 바로가기

2.디즈니+(디즈니 플러스)

디즈니+는 이름 그대로 디즈니에서 서비스하는 OTT입니다. 2019년에 시작한 후발주자로 콘텐츠가 부족한 약점을 가지고 있지만, 디즈니의 MCU라는 오리지널 콘텐츠를 무기로 하고 있습니다.
다만 디즈니+ 자체적으로 배속기능은 없습니다. (최근 핫한 "무빙" 강풀작가님은 인터뷰에서 이런 배속 기능이 없는 점이 창작자 입장에서는 제일 좋았다고 합니다.) 대표작으로는 무빙, 카지노등이 있습니다.
 
'23.11.1일 신규가입자부터는 가격 정책이 변경되니 참고하세요!!

  • (~'23.10.31) : 월 9,900원 / 년 99,000원 (단일 요금제)
  • ('23.11.1~) 아래 요금제 사용

디즈니+ 사이트 바로가기

3. Apple TV(애플 티비)

애플에서 서비스 시작한 OTT 플랫폼으로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기보다는 적지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확실한 방향성이 있습니다. 
영화, 예능등 보지도 않는 수많은 콘텐츠를 모아둔 것이 아닌 본인들만의 확실한 오리지널 콘텐츠를 제공하려 합니다. 실제로 넷플릭스나 디즈니+에 비해 현저히 적은 콘텐츠를 보유하지만 유명배우 / 제작자들을 끊임없이 영입하여 양질의 콘텐츠 제작을 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21년 테드 래소 같은 시트콤은 에미상 3관왕을 거두기도 했습니다.
다만 ,비 애플 기기(스마트 TV /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와의 호환성 문제로 애플 이외 제품을 사용 시 최적화에 아쉬움이 남는다고 합니다. 대표작으로는 파친코등이 있습니다.

애플TV 사이트 바로가기

4. TVING(티빙)

티빙은 CJ ENM에서 제공하는 OTT 서비스입니다. 보통 종편 또는 CJ ENM에서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채널에서 하는 프로그램의 재방송을 많이 제공합니다. 한국인 입맛에 맞춘 다양한 오리지널 예능을 많이 보유하고 있다. 보통 티빙 오리지널로 흥행이 되면 TVN에서 방영해주기도 합니다. 
현재는 티빙을 통해 분데스리가와 UFC를 볼 수 있으며, 대표작으로는 지구오락실, 술꾼도시여자들, 대탈출등이 있습니다.

TVING 사이트 바로가기


 5. WAVVE(웨이브)

웨이브 역시 한국형 OTT 서비스로 SKT와 지상파 4사(MBC,SBS,KBS,EBS)가 합작운영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SKT 요금제에 따른 WAVVE 혜택이 있지요) 오리지널 콘텐츠도 있지만 보통 지상파 프로그램을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WAVV 사이트 바로가기

6. OTT별 요금제 기준 비교(최고 요금제 기준)

그룹 구성여부에 따라 가격이 확 내려가니 주변 사람들과 그룹 구성을 해보도록 하자
모바일 어플로 결재 시에는 구글앱 사용료가 부과되어 더 비싸게 결재될 수 있으므로 결재는 무조건 PC로 결재하자

7. 통신사 별 혜택

WAVVE의 경우 SKT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인 만큼 SKT 이용 시 혜택이있습니다.
KT, LG U+의 경우 넷플릭스/티빙/디즈니+에 대한 혜택을 주고있는데, 등급이 나눠져있는 넷플릭스/티빙을 선택하기 보다는 아직 등급이 나눠져있지않은 디즈니+를 선택하는게 가장 뽕뽑는 방법입니다.(다만 11월 1일 이후 디즈니+스탠다드 제공으로 변경되지 않을까 예상됩니다ㅠ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