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소사사/[방송 및 인물 정보]

[인물 정보] 김동성 선수시절 / 사건사고 / 근황(feat 메달연금)

by 망고랑키위랑 2023. 10. 16.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최근 공사장 근로자로 일하고 있는 전 쇼트트랙 국가대표 김동성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려고 합니다. 김동성 선수의 한때 빛났던 선수생활, 사건사고, 가족 그리고 근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국가대표로 각종 대회에서 메달을 따게되면 받는 혜택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김동성 인적사항

∨ 본명 : 김동성

∨ 국적 : 한국

∨ 나이 : 1980년 2월 9일(43세)

∨ 고향  : 전라남도 곡성군

∨ 학력 : 서울대치초 - 단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중학교 - 경기고등학교 -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 신체 : 175cm - 65kg

∨ 경력 : 쇼트트랙 선수 및 해설자

선수 시절 김동성은 1998년 나가노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로 2차례 세계선수권 종합우승 및 1999-00, 2001-02 시즌 월드컵종합우승을 기록한 쇼트트랙의 레전드 선수이다.

 

특히 1998년 나가노 올림픽은 날 들이밀기로 0.053초 차이로 역전 통과하여 기적의 금메달을 딴 경기입니다. 짜릿한 명경기의 장면을 다시 확인하고 오시죠

[1998 나가노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명장면 - 출처 : SBS]     

김동성 수상기록

쇼트트랙 선수로서 신체적 / 정신적으로 월드클래스였으며, 현역 시 중·장거리 최강자로서 많은 메달을 확보하였습니다.

대회
올림픽 1 1 0
세계선수권 10 4 3
세계 팀선수권 1 3 1
아시안 게임 3 3 2
주니어 세계선수권 4 0 0
월드컵 랭킹 7 2 2
월드컵 메달 37 18 10
합계 63 11 7

사건사고

장시호와 불륜사건

대한민국을 뒤흔들었던 국정농단 박근혜 - 최순실 게이트와 연관된 사건이 하나둘 터지기 시작하면서, 최순실의 조카인 장시호와 교제하고있었으나, 장시호가 추진하던 평창올림픽 사업 중 하나인 강릉시청 쇼트트랙팀 창단 감독직 제의를 거절하여 장시호와 결별하였고 이로 인해 빙상계에서 사실상 쫓겨난 것으로 드러났다.

 

장시호는 2015년 김동성과 사귀었다고했으나, 김동성은 결혼 전인 1999년에 약 1년 정도 사귀었다고 했으나 추후 상간녀 소송에서 장시호가 패소하면서 김동성의 불륜이 사실로 드러났다.

 

김동성은 이일로 14년만의 전 부인과 합의이혼하였으나, 전 부인은 김동성의 추가 상간녀들에게 위자료 소송을 제기하여 총 2차례 더 승소하여 알려진 것으로는 3명과 불륜한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전 부인 무고죄 사건

불륜을 저질러 사실상 이혼을 당한것임에도 김동성은 전 부인을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하였습니다. 최순실의 조카인 장시호와 본인이 동거했다는 거짓을 언론에 퍼트려서 라고 합니다...

 

하지면 결과는 김동성 본인 무고죄로 벌금형을 선고받았습니다.(스스로 자책골을...이미지 추락의 가속화된 사건이죠)

 

양육비 미지급 사건

김동성은 전 부인과 합의이혼 당시 2019년 1월부터 아이들이 성년이 될 때까지 매달 150만원씩 지급하기로 합의했으나, 2020년 1월부터 양육비를 미지급하였고 양육비이행명령소송을 당했습니다.

 

결국 베드파더스에 등재되었으나, 밀린 양육비를 지급하고 의무와 책임을 다하기로 하였으나 지속적으로 양육비지급책임을 다하지 않아 베드파더스 재등재되었습니다.

 

불륜을 저지르고 자식들에게 무책임하여 이미지는 나락으로 떨어졌습니다.

 

최근 근황

최근 김동성은 빙신 김동성이라는 유튜브 채널을 개설하였는데, 영상을 업로드하면서 최근 본인의 일상인 건설현장 일용직(일명 노가다) 및 배달업무를 하고 있는 영상을 올렸습니다. 

다만 기본적으로 이런 업무를 하면 영상을 자유롭게 찍기 어렵기 때문에 다른 의도가 있을 수 있다는 의견도 있습니다.(진심으로 반성하고 새 출발 하는 것이길

 

빙신 김동성 유튜브 바로가기

 

메달보상

김동성 선수는 현역시설 각종 국제대회에서 많은 메달을 따면서 보상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최근에는 국제대회에서 스포츠선수로서 메달을 획득하면 어떤 금전적 보상이 주어지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금전적 보상은 크게 메달포상금(문화체육관광부), 경기력향상 연구연금(국민체육진흥공단), 경기 종목별 연맹 포상금이 있습니다. 경기 종목별 연맹 포상금은 연맹에 따라 상이하니 메달포상금과 경기력향상 연구연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메달포상금 -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체육관광부는 국가대표로 메달을 획득하여 국위 선양한 선수에게 메달 포상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 올림픽  : 금메달 6,300만원 / 은메달 3,500만원 / 동메달 2,500만원
  • 아시안게임 : 금메달 120만원 / 은메달 70만원 / 동메달 40만원
  • 공통 : 단체전일 경우 개인전의 선수들이 받는 금액의 75%를 지급합니다.

경기력향상 연구연금 - 국민체육진흥공단

 

일명 메달연금이라고 불리는 경기력향상 연구연금은 대회 및 입상순위에 따라 점수를 부여합니다.

누적점수 20점부터 연금을 받을 수 있으며, 최대 110점(100만원)까지 단계별로 올릴 수 있습니다. 최대 점수(110점) 이후에는 점수별로 일시지급이 됩니다.

김동성 선수시절 메달

최소 20점부터 최대 110점까지 아래 기준으로 지급되며, 경기가 종료한 날의 다음 달부터 사망 때까지 지급되며 상한액은 100만원입니다.

메달연금 현황

누적 점수가 110점일 경우 연금최고액인 100만원을 매달 받을 수 있지만, 올림픽 금메달의 경우는 예외적으로 90점이나 연금최고액인 100만원을 지급합니다.

 

만약 연금을 선택하지 않고 일시금을 선택한다면 아래와 같은 조건으로 일시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메달연금 현황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전 쇼트트랙선수였던 김동성 선수 및 각종대회 메달 획득 시 받을 수 있는 보상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김동성 선수는 한때 국민영웅에서 각종 사건사고로 이미지가 추락하였는데 앞으로는 좋은 모습 뉴스로 뵙길 바라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