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부동산/[부동산 생각]17

[부동산 공부] 주택담보대출(LTV / DSR /DTI) 50년만기 주택담보 대출로 시끌시끌하다. 보통 주택을 구매할때 매매하는 주택을 담보로 대출을 일으켜 집을 구매를하게 되는데, 그때 가장많이 듣는말이 LTV / DSR /DTI다. 10억짜리 집을 구매하는데 누구는 5억을 누구는 6억을 빌려준다. 각자의 상환능력에 따라 대출금액이 달라지는데 그때마다 보이는 저 암호같은 LTV / DSR / DTI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자. 1. LTV(Loan To Value ratio) 주택담보비율계산을 말한다. 쉽게 말해 내 집 구매가격의 %라는 것이다. 예를 들어 10억 주택의 LTV 60%는 6억인것이다. 동일한 아파트여도 매매가격이 천차만별이기때문에 은행권에서는 주택매매의 기준은 KB부동산 시세를 기준으로 한다. 그럼 현재 적용되는 규제를 보면 아래와 같다. ※.. 2023. 9. 8.
[부동산 공부] 아파트 구조(feat 벽식 / 라멘 / 무량판) 안녕하세요, 요즘 철근누락 시공으로 시끌시끌합니다. 그러면서 언론에서 무량판 구조를 자주 말하는데, 아파트 구조에는 어떤것이 있고, 무량판 구조는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벽식 구조 -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아파트 구조 방식입니다. - 기둥이나 보같은 구조를 사용하여 하중을 받치는게 아닌 벽을 통해 하중을 받는 구조입니다. - 비용이 저렴하여 우리나라에서 짧은기간 경제 고도화로 대규모 주택을 공급할 때 많이 사용한 구조입니다. 장점 단점 - 비용절감 및 건설기간이 단축된다 ☞건설사 이득(경제성↗) - 수평 방음이 좋다 ☞ 방과 방사이에 방음이 좋습니다. - 안정성이 좋습니다. - 층간 소음에 취약하다 ☞ 우리가 아파트살면서 가장 고통받는 이유 중 하나.. - 리모델링이 어렵다 ☞ 배관등이.. 2023. 9. 4.
[부동산 공부] 인구/소득과 부동산 1. 서울시 인구 수 대한민국의 수도 1000만 인구의 도시 서울은 이제 옛말이 되버렸다. 2016년 1000만이 깨진 이후 2022년 기준 942만명으로 거의 6%가 사라져 버렸다. 2016년 총 인구수가 5112만, 2022년 총 인구수가 5155만으로 늘어났는데..?(물론 출산율 0.7명, 2020년 이후 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한 문제는 잠시 접어두자..) 일단 서울시의 인구 그래프를 보면 매년 거의 1%씩 감소하는것을 볼 수 있다. 서울시 인구 감소의 가장 큰원인은 아래와 같다. 국가적인 저출산율 서울시의 살인적인 집값 2. 서울시 가구 수 서울시민 감소에 대비해 서울시 가구수는 7%가 상승했다 ☞ 점점 소가족 또는 나혼자사는 분들이 많아지는듯! 수도권에 일자리 집중 1인 가구의 증가 3. 서울시 .. 2023. 9. 1.
[부동산 공부] 금리 & 부동산에 대한 생각 1. 기준금리 연 3.5% 동결 - 환율 5연속 동결(ㅎㄷㄷㄷ) - 2017년 주택 구매 시 주택담보대출 금리 3.65% 적용 받았다. - 2023년 지인이 주택 구매 시 받은 주담대 금리4.3% 적용 받았다고한다. - 큰 차이 없어보인다.. https://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8596431&code=61141111&cp=nv [속보] 한국은행, 기준금리 연 3.50% 동결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동결했다.한은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24일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에서 현행 연 3.50%인 기준금리를 유지하기로 했다.지난 2월, 4월, news.kmib.co.kr 2. 미국 금리 연 5.5% - 파월 아저씨 이렇게 말하지만 더 이상은 무리가 아닐까 - 2.. 2023. 8. 27.
반응형